2022. 5. 13. 15:14ㆍ도시구성원으로서 반려동물
Dearest readers,
친애하는 독자 여러분,
오늘은 우리나라 대학의 동물권 동아리를 소개해보고자 합니다.
요즘은 대학교마다 터줏대감 고양이들이 있는거 같아요. 그들이 대학 본부들에서는 골칫덩이일 수 있지만, 학생들은 그런 캠퍼스의 고양이를 돌보면서 동물권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는 거 같아서 참 좋네요.
대학생들이 1) 사용하는 플랫폼은 인스타그램(링크를 누르면 이동)이고, 2) 반려견보다는 캠퍼스내 고양이 돌봄 동아리가 대부분입니다. (ㄱㄴㄷ 순 나열/더 알게 되는 대로 추가 예정)
1. 가톨릭대학교 캣홀릭 https://www.instagram.com/cat_holic_cuk/
2-1. 경희대학교 쿠캣 https://www.instagram.com/khu_cat/
2-2. 경희대학교 회냥이들 https://www.instagram.com/kyungheecat/
3. 고려대학교 고양이 쉼터 https://www.instagram.com/ku_catshelter/
4. 국민대학교 고양이 추어오 https://www.instagram.com/kmu_cat/
5. 단국대학교 단냥펀치 https://www.instagram.com/dankook_cat/
6. 동덕여자대학교 솜집사 https://www.instagram.com/somjipsa_ddcats/
7.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동물권 중앙동아리 서고고 https://www.instagram.com/seoultechanimal/
8. 성균관대학교 자과캣 https://www.instagram.com/sungjacat_skku/
9. 한양대학교 십시일냥 https://www.instagram.com/hyu_ten_spoons_one_cat/
10. 홍익대학교 멍냥부리 https://www.instagram.com/hongik_cats/
학생들이 동물을 돌보는 마음이 너무 예쁘네요. 젊은 세대의 이런 노력이 쌓여 가까운 미래엔 동물권이 더 신장된, 더 성숙한 우리 사회가 되길 바랍니다.
응원합니다. 화이팅!
스마트한 여러분의 벗,
레이디 실버스타
Truly Yours,
Lady Silverstar
'도시구성원으로서 반려동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10. 개의 행동 특성 (0) | 2022.05.24 |
---|---|
009(서울 | 서초 | 동물사랑센터). 유기견보호소 + 입양센터 + 반려견교육센터 = 서초동물사랑센터 (0) | 2022.05.20 |
008(서울 | 마포 | 반려동물문화교실). 마포구 댕댕이들은 좋겠다. (0) | 2022.05.20 |
006. 도시 구성원으로서 반려동물 (2) | 2022.05.13 |